본문 바로가기

최영인 논문수  · 이용수 1,277 · 피인용수 18

소속기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소속부서
국어교육과
주요 연구분야
사회과학 > 교육학 사회과학 > 기타 사회과학 인문학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연구경력
-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가족 의사소통 인식(Perception about Family Communication)
#가족 의사소통(Family Communication)
#가족 체계 유형 불일치(Discrepancy of Family System Types between Family Members)
#가족 체계 유형(Family System Types)
#교사 역할 변화
#교수학습 역량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
#국어 교육 평가(Korean Language Assessment)
#내러티브 평가(Narrative Assessment)
#내러티브(Narrative)
#내용 조직(content organization)
#내용생성(content creation)
#말하기 듣기의 동시성을 고려한 화법 평가(speech assessment considered simultaneity of speaking and listening)
#미래 교실
#미래 학교
#설득(persuasion)
#설득적 의사소통(persuasive communication)
#실용국어 교육과정(Practical Korean curriculum)
#실제적 수행 중심의 화법 평가(speech assessment focused on real performance)
#역량 모델링
#의사소통 역량(communication competence)
#의사소통 평가
#직무 기반 의사 소통 능력(Job-based communication ability)
#직업기초능력평가(Test for Enhanced Employability and Upgraded Proficiency: TeenUp)
#총체성을 고려한 화법 평가(speech assessment considered totality)
#학습자 중심 화법 평가(speech assessment focused on learners)
#핵심 역량(Core competence)
#핵심역량평가(Test for core competence)
#협력적 의사소통
#협력적 의사소통 과정
#협력적 의사소통 기능
#협력적 의사소통 역량 평가
#협력적 의사소통 역량 행동지표
#화법 교육 평가(Speech Education Assessment)
#academic achievement
#Analyzing Text
#Changes of teachers’ role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assessment
#collabo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behavioral index
#collaborative communication functions
#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cess
#communication assessment
#Competency modeling
#Future classrooms
#Future school
#Korean Textbook
#Learner’s Reaction
#Multicultural Awareness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Text
#Multicultural Text in Korean Textbook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parenting attitude
#parents’ monitoring
#rational explanation
#Selecting Text
#self󰠏directedness
#Teaching competency
#Using Text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