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노택 (Rho-Taek Jung) 논문수  · 이용수 7,210 · 피인용수 9

소속기관
울산대학교
소속부서
산학협력단
주요 연구분야
공학 > 조선해양공학 TOP 10% 공학 > 기계공학 > 기계공학 일반
연구경력
-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2차원 6방향(D2Q6)
#2차원 9방향(D2Q9)
#3D Moving Unstructured mesh(3차원 이동형 비구조격자)
#격자볼츠만방법(Lattice-Boltzmann Method)
#격지볼츠만법(Lattice Boltzmann Method)
#댐붕괴 시뮬레이션(Dam-breaking Simulation)
#반델월스 유체(Van-der-Walls fluids)
#상분리(Phase Seperation)
#신조선 에너지 효율지수(EEDI)
#에너지 효율관리 계획(SEEMP)
#운항선 에너지 효율지표(EEOI)
#이산화탄소 배출(CO₂ emission)
#Ballast Water(밸러스트수)
#Bubble Cavitation(버블 캐비테이션)
#CAPEX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Carbon dioxide(이산화탄소)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Climate change(기후변화)
#CO<SUB>2</SUB> Reduction(CO<SUB>2</SUB> 저감)
#CO₂ geological storage(CO₂ 지중저장)
#CO₂ Ocean Sequestration(CO₂해양처리)
#CO₂ ocean storage(CO₂ 해중저장)
#coastal environment(해안환경)
#Collision risk assessment(충돌 위험도 평가)
#Conversion efficiency 변환효율
#D2Q6(2차원6방향)
#D2Q9(2차원9방향)
#deep ocean(심해)
#Derelict fishing gear Buy-Back program(해양쓰레기 수매사업)
#derelict fishing net(침체어망)
#Dioxin(다이옥신)
#Drifting vessel(표류선박)
#geological structure(지질구조)
#IMO(국제해사기구)
#Incineration(소각)
#IPCC(기후변화정부간패널)
#Lattice-Boltzmann Method(격자볼츠만방법)
#Liquid-liquid two-phase flow(액체-액체간 이상유동흐름)
#Marine litter Monitoring(해양쓰레기 모니터링)
#Marine litter(해양쓰레기)
#Mooring System for floating wind power(부유식 풍력발전기 계류장치)
#National Marine litter Basic Management Plan(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
#Ocean storage(해양저장)
#Offshore floating wind power farm field(해양 부유식 풍력발전단지)
#Offshore plant 해양플랜트
#Offshore wind turbine park(해상풍력단지)
#Phase separation(상분리)
#Photovoltaic effect 광기전력 효과
#polystyrene buoy thermal volume reduction system(스티로폼 감용기 시스템)
#Powering vessel(기주선박)
#PVDF(poly-vinylideneflouride,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real-time deep-sea camera(실시간 심해카메라)
#recycling(재활용)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seabed survey(해저면 조사)
#Sodium Hypochlorite(차아염소산나트륨)
#Solar cell 태양전지
#Spark generation(전기스파크발생)
#Two cavitation bubbles(두 캐비테이션 버블)
#Wind pressure 풍압력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