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석찬 (Seok Chan Koh) 논문수  · 이용수 1,328 · 피인용수 4

소속기관
제주대학교
소속부서
생물학과
주요 연구분야
농수해양학 > 농학 TOP 5% 자연과학 > 지구과학 > 지구과학 일반
연구경력
-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가로수
#가용성고형물함량
#결구생장
#고온 스트레스
#과피색
#과형지수
#광계II 활성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
#광합성률
#광합성적 CO₂ 고정률
#구상나무(Abies koreana Wils.)
#녹나무
#농암갈색 화산회토양
#담팔수
#마늘
#마늘(Allium sativum L.)
#만개
#맹아 출현율
#먼나무
#무기성분 조성
#발아
#배추
#봄순
#산 함량
#생육 특성
#수분이용효율
#엽록소형광
#엽록소형광 변수
#영양생장
#온도 스트레스
#온도구배터널
#온도상승
#왕벚나무
#월동무
#이차생장
#인경
#인경 발달
#인경발달
#인편
#초기생장
#최대광합성률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
#토양-작물 관리
#프로테옴
#항산화효소
#형광변수
#호흡률
#Allium sativum L.
#Alpine plants
#Aminopeptidase N(APN)
#Angiosperm plants
#angiotensin Ⅰ converting enzyme(ACE)
#Angiotensin Ⅰconverting enzyme(ACE)
#antioxidative activity
#antioxidative enzyme
#bioactive materials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pekinensis
#budburst
#bulb
#bulb development
#bulb growth
#caffeine
#callus culture
#Camellia sinensis
#catechins
#chlorophyll a fluorescence parameter
#chlorophyll a fluorescence transient
#clove
#CO₂ 흡수능
#dark respiration rate
#early growth
#emergence rate
#Fern plants
#fluorescence parameters
#fruit color
#fruit L/D ratio
#full bloom
#growth characteristics
#head growth
#high temperature stress
#Inhibitory Activity
#maximum photosynthetic rate
#Mineral composition
#OKJIP transient
#OKJIP곡선
#Paeaknokdam
#peroxidase
#photochemical efficiency of photosystem II
#photosynthetic CO₂ fixation rate
#photosynthetic rate
#photosystem II activity
#Plant resources
#Raphanus sativus L. var. hortensis Backer
#Rare or endangered plants
#rising temperature
#secondary growth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soil-crop system management
#soluble solids content (SSC)
#SPAR 챔버
#SPAR 체임버
#SPAR chamber
#spring shoot
#superoxide dismutase
#temperature gradient tunnel
#temperature stress
#Theaceae plants
#thiamine-HCl
#titratable acidity (TA)
#Vegetation
#vegetative growth
#very dark-brown volcanic ash soil (VDBS)
#water use efficiency
#α-amylase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