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영미 (Youngmee Lee) 논문수  · 이용수 7,290 · 피인용수 62

소속기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소속부서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과
주요 연구분야
사회과학 > 교육학 TOP 5% 인문학 > 어문학 > 언어학 일반 TOP 10% 복합학 > 학제간연구 복합학 > 뇌인지과학 예술체육학 > 체육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복지학
연구경력
-
  • 저자정보 . 논문
  • 공저자 . 저널

저자의 연구 키워드

저자의 연구 키워드
#간접화행
#그림상징
#글자상징
#기억력
#난청 노인
#노년층
#노화
#다차원적 분석
#단서유형
#대면이름대기
#마비말장애
#말 산출
#말 산출의 시간적 특성
#말명료도
#말소리장애
#말속도
#매력적인 음성
#모음공간면적
#문해능력
#쉼
#스펙트럼
#실제음성
#아동
#액티브 시니어
#어플리케이션 개발
#오답 유형
#유머 유형
#유머텍스트 이해
#음성
#음성 분석
#음성 호감도
#음성인식기술
#음소지각평가
#음향학적 분석
#음향학적 평가
#의사소통 삶의 질
#이모티콘
#이야기 회상
#인지기능
#자폐범주성장애
#작업기억
#작업기억용량
#정상 성인
#중증도
#청소년
#청지각적 분석
#청지각적 평가
#치매 예방
#켑스트럼
#포먼트 주파수
#합성음성
#acoustic analysis
#acoustic evaluation
#acoustic parameter
#active senior
#Adolescent
#adults
#Age
#ageing
#aging
#application
#Application development
#Articulatory Severity
#auditory-perception analysi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Autism spectrum disorder
#Cepstral Measures
#charming voice
#Children
#cochlear implants
#cognitive function
#confrontational naming
#confusion matrix
#consonants errors
#Cue Type
#deaf
#dementia prevention
#Distinction
#Dysarthria
#elderly adults
#emoticons
#error pattern
#Formant Frequency
#Harley-Davison
#healthy adults
#Humor text comprehension
#humor type
#Indirect speech acts
#intelligibility
#linguistic cues
#listener’s experience
#Memory
#Motorcycle Tour
#multi-dimensional analysis
#older adults
#older adults with hearing loss
#pause
#PCC
#Phonation type
#Phonemic Perception
#Phonetic Complexity
#picture-symbols
#Place of Articulation
#Plosive Consonants
#Quality of communication life (QCL)
#real voice
#severity
#signal to noise ratios
#SNS 대화상황
#SNS context
#speaker’s severity
#Spectral Measures
#speech
#speech and language skills
#speech intelligibility
#Speech rate
#Speech sound disorders
#story recall
#Synthesized voice
#temporal features
#text-symbols
#trends
#types of noise
#Vocal attractiveness
#Voice
#voice analysis
#Voice Onset Time
#Voice Recognition
#Vowel Space Area
#Woman Rider
#working memory
#Working Memory Capacity

저자의 논문

연도별 상세보기를 클릭하시면 연도별 이용수·피인용수 상세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피인용수는 저자의 논문이 DBpia 내 인용된 횟수이며, 실제 인용된 횟수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