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제23권 제2호
발행연도
2003.10
수록면
701 - 704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mposition of inner court elevation of the Urban HanOk in Seoul. This study focus on the period from 1930s to 1960s and target the Urban HanOk of a middle & large scale. During these times, the Urban HanOk is made up major rooms facing on its inner court and the inner court elevation is found a tendency of change effected by not only the modem building materials such as brick, glass, and metal but also modem way of living in general.
Twenty samples of the Urban HanOk are selected to analyze major compositional elements of the inner court elevation of AnChae. Especially, upper lintel (InBang), built-in window(ButJangChang), lower window frame(MeoReum) and others are survey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s to find a tendency of change. With this investigation, we can realize that the inner court elevation had a more clear and standardized composition after various experimental trials.

목차

Abstract

1. 서론

2. 분석 대상

3. 입면 결정요소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40-013749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