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종군위안부, ‘위안부‘, 정신대?
2. ‘위안부‘, 공창?
3. ‘위안부‘, 성노예?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볼거리 읽을거리 1] 1차 자료로 읽는 '위안부' 문제-『천황의 군대와 성노예』
내일을 여는 역사
2001 .12
일본군 '위안보'(성노예) 동원의 실태
역사비평
1998 .11
정신대 심포지움
한국여성신학
1995 .09
일본군 성노예제에 대한 비판적 분석 :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에 대한 논박을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2015 .10
정신대 피해와 인권회복운동
계간 사상
1996 .12
해방 후 공창제 폐지과정 연구
역사연구
2001 .06
[교단에서 2] 정신대 할머니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지 않을래?
내일을 여는 역사
2001 .12
[오늘에 살아 있는 역사 3] 일본군위안부 문제에서 얻는 역사적 교훈
내일을 여는 역사
2001 .01
일본군 ‘위안부’ 기념관의 ‘위안부’ 재현과 기억 정치
한국학연구
2010 .12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쟁점과 해결 : 『제국의 위안부』의 비판적 독해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의 제언
황해문화
2016 .06
일제 강점기 기독교계의 공창폐지운동
한국기독교와 역사
2007 .03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1965년체제 : 정영환의 『제국의 위안부』 비판에 답한다
역사비평
2015 .08
피해실태를 통해 본 일본군‘위안부’의 개념과 범주 시론
사학연구
2015 .12
일본군 위안부의 생활실태와 연구에 대한 검토 : 일본군위안부 연행을 중심으로
성곡논총
1996 .08
한 · 일 중 · 고교 역사 교과서의 ‘위안부’ 서술 비교
한일관계사연구
2017 .12
일본군‘위안부’ 문제, 지금 어디에 있는가?
황해문화
2018 .06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하나의 결산
황해문화
2016 .03
인류의 평화와 화합을 위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전체상을 규명하다 : 강정숙, 「일본군‘위안부’제의 식민성 연구-조선인 ‘위안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2010.8
내일을 여는 역사
2012 .06
방적 용어
한글
1938 .12
보에 대한 용어
한글
193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