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토론
4. 결론
감사의 글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오존 개선을 위한 미국의 오존 관리 검토와 제언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9 .06
Photochemical Box Model 에 의한 서울시 Ozone 농도 시뮬레이션과 장래 배출량 변화에 따른 Ozone 종도 예측 ( A Simulation of Ozone Concentration by Photochemical Box Model And Application for Estimation of Ozone Concentration with Future Emission Change in Seoul )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991 .01
Photochemical Modeling of July 1994 High-Ozone Episode in the Greater Seoul Area
한국대기환경학회지(영문)
1999 .11
국내 대류권 광화학 오존 연구의 현황과 방향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20 .08
한반도 중부지역의 밀에 대한 오존 위해도 평가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5 .02
대구시의 고농도 오존 발생 일에 나타나는 기상학적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002 .01
Stratospheric Ozone Observations in Korea
Korea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996 .01
포항지역 오존농도의 분포 특성 : 2002~2006년 측정자료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1 .02
A Variability of Total Ozone Amount over Pohang using the Brewer Ozone Spectrophotometer and Ozonesonde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2007 .02
봄철 서울지역 야간 오존농도 상승에 미치는 장거리 수송의 영향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04 .08
한반도 상공의 오존층 변화 1985~2009
대기
2011 .12
CHARACTERISTICS OF LONG TERM VARIATION OF TOTAL OZONE OVER SEOUL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999 .10
An analysis of the potential impact of various ozone regulatory standards on mortality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1 .02
경기도 안양시 오존농도의 시계열모형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08 .10
3A3)서울지역 6월 고농도 오존 현상의 기상효과와 사례일 모델링
한국대기환경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3 .05
The Characterization of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in Seoul, Korea
한국대기환경학회지(영문)
2002 .09
Indicative Responses of Rice Plant to Atmospheric Ozone
The Plant Pathology Journal
2000 .06
Enhancement of Ozone and Carbon Monoxide Associated with Upper Cut-off Low during Springtime in East Asia
한국대기환경학회지(국문)
2010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