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Ⅰ. 서론
Ⅱ. 도시공간분석과 지리정보시스템
Ⅲ. 인구밀도분포의 공간변동분석
Ⅳ. 인구밀도분포 예측 시뮬레이션
Ⅴ. 결론
註
參考文獻
〈부표〉 인구밀도와 설명변수간의 상관관계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空間的 立地特性에 따른 우리나라 人口密度의 空間的 分布特性 變化
국토계획
1999 .08
서울市 社會地域 構造의 空間的變化研究
국토계획
1988 .07
서울대도시권 인구집중의 공간적 연관성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2008 .05
국토 불균형 수준 측정을 위한 지표 구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2011 .10
밀도결합형 셀룰라 오토마타 모형의 개발 : 서울대도시권 도시성장 시뮬레이션, 1972~2000
국토계획
2004 .10
수도권의 거주공간 분포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2002 .04
The development and review of Spatial data index technology
한국멀티미디어학회 국제학술대회
2006 .07
지속가능한 개발 관점에서의 서울시 도시공간구조 변화특성에 관한 연구 : 토지이용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2011 .02
부산시 인구성장의 조정과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2001 .12
울산시 공간구조 변화의 시기구분 : 인구분포의 변화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2008 .08
Analysing Spatial Pattern of Fire Factor using Text Mining
대한공간정보학회지
2018 .06
고용밀도가 제조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2008 .04
공간빅데이터 개념 및 체계 구축방안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013 .10
공간빅데이터 연구 동향 파악을 위한 토픽모형 분석
대한산업공학회지
2015 .02
인구밀도 및 인구잠재력의 공간적 변동성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1966-1995년)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2001 .08
이산사건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공간밀도측정 및 구조특성평가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2017 .07
도시성장에 따른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 강릉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Impact of Urban Growth on Spatial Structure )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
1989 .10
Parallel Algorithm for Spatial Data Mining Using CUDA
JOURNAL OF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VERGENCE
2019 .12
Web-Based Analytical Tool for Visual Depiction, Exploration and Mapping of Gross National Happiness Spatial Data
ITC-CSCC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on Circuits Systems, Computers and Communications
2009 .07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