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사비도성의 도시적 면모
3. 사비시기 지방도시의 면모
4.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백제 사비시대 귀족세력의 존재양태와 대성팔족
역사와현실
2006 .12
문헌자료로 본 사비시기의 익산
한국고대사연구
2015 .06
백제의 천도
한국고대사연구
2004 .12
사비시대 후기를 들여다 보는 또 하나의 창(窓) : 남정호, 『백제 사비시대 후기의 정국변화』(학연문화사, 2016)
한국고대사연구
2017 .03
백제의 사비천도와 불교
대구사학
2009 .01
백제 熊津王都와 大通寺址
한국사연구
2011 .12
지형 및 유구분포로 본 백제 사비왕궁의 범위
역사와 담론
2011 .12
백제 사비시대의 익산
한국고대사연구
2001 .03
百濟 ‘定林寺’의 創建代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2 .01
百濟 泗沘時期 都城의 儀禮 空間과 王權 : 統合中樞로서의 王宮과 寺院을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13 .09
우리시대 관광자원으로서 사비백제문화의 가치와 왜곡
실천민속학연구
2009 .08
공주 지역 백제 수막새의 특징과 계통
백제문화
2018 .01
발해 도성의 의례공간과 왕권의 위상
한국고대사연구
2013 .09
발굴자료를 통해 본 사비도성의 변천과 경관
백제문화
2020 .01
백제 사비기 부여 부소산사지의 축조기법과 가람배치 검토
역사와 담론
2011 .08
百濟 泗沘期 기와 生産施設과 生産體制
문화사학
2012 .12
한국 고대사에서 왕도(王都)와 도성(都城)의 개념 : 고구려의 용례를 중심으로
역사와현실
2017 .06
渤海 宮闕構造의 系譜에 대한 檢討 : 上京城과 西古城의 宮殿址을 중심으로
역사와 담론
2010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