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자본 논의의 새로운 출발
2. 자본주의적 공간의 재해석
3. 정보공간 : 사이버공간(Cyberspace)의 본질
4. 자본의 정보공간 진출을 위한 전제
5. 자본의 정보공간화와 정보공간의 자본화
6. 나오면서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나만의 공간을 찾아서: 공간, 그 쓸쓸함에 대하여
국토
2019 .12
모두 온다, 배움과 나눔의 공간 '다온'
초등우리교육
2009 .04
모두 온다, 배움과 나눔의 공간 '다온'
중등우리교육
2009 .04
정보공간과 성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000 .01
언제 어디서나 활용되는 공간정보
국토
2018 .02
공간정보의 새로운 기회, 공간정보 신시장
국토
2018 .02
공간자기상과의 (spatial autocorrelation) 탐색과 공간회귀분석(spatial regression)의 활용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003 .06
가상공간에서의 환경보호
저널리즘 비평
2000 .04
공간정보빅데이터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3 .06
공간과 경제
국토
2010 .07
공간단위에 따른 공간적 접근성의 변화 특성
한국지역지리학회 학술대회발표집
2014 .12
新공간정보시리즈 ❶ -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 : 공간정보기술 트렌드
국토정책 Brief
2007 .10
후기 근대와 공간적 전환 :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공간
사회와이론
2013 .11
참여형 공간정보 추세와 국가공간정보정책의 대응
국토정책 Brief
2012 .11
공간정보의 구축 및 활용
국토
1995 .10
사회성의 공간적 상상력 : 신체-공간론을 통해 본 공간적 실천
한국사회학
2012 .10
공간정보 패러다임 변화 : 공간정보산업 트렌드
국토정책 Brief
2007 .10
가상공간에서 경험하는 과학의 세계
초등우리교육
1998 .02
공간, 미디어 및 권력 : 새로운 이론틀을 위한 시론
커뮤니케이션 이론
2007 .12
유비쿼터스 정보기술을 활용한 물리공간과 전자공간 간의 연계구도와 어플리케이션 체계에 대한 연구
Telecommunications Review
2003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