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한국농어촌관광학회 농어촌관광학회지 농촌관광연구 제16권 제2호
발행연도
2009.6
수록면
49 - 64 (1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Rural tourism has been recognized as a catalyst for rural development or restoration. The federal government implemented several rural planning attempting to address this phenomenon in the late nineties. But these are long-term planning, are not helpful to rural residents in nat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rural village not rural district or region, aimed for practical and applicable planning of rural villages. Especially, village entrance planning is necessary for establishing identity and a distinct image and will be helpful for improving and advertising a village's image, capitalizing on its specialties and attracting many visitors to the village. Therefore, this study mainly intended to plan and design the entrance space for a rural tourism village. For this purpose, 2 rural villages(Haman, Asan) were chosen by demand of rural resi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ful information for rural village planning such as excavation and use of amenity resource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Ⅵ.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22-018518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