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國土計劃 第44卷 第3號
발행연도
2009.6
수록면
207 - 220 (1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Participatory governance has been often presented as the right answer for the many issues related to citizen participation, particularly when academics approached community planning in Korea. However, in spite of frequent remarks on governance in previous studies, it has yet to say that the structures and components of the successful participatory governance have been properly identified. This paper, to fill this gap, aims at analysing the structures and components of participatory governance by adopting institutional theoretical framework. Cases of Seoul Bukchon and Gwangju Bukgu, the highly tauted examples as successful community participation planning, were selected for the study. In result, among three key factors of participatory governance, 'representation', 'self-reliance', and 'inter-dependence', the current practices lag behind relatively in 'self-reliance' mainly due to the local government's strong initiative in governance structures. It should be also noted that the civil society in Korea is still too week to be a leading member of governance,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 in governance is pivotal in the current socio-political context in Korea.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참여 거버넌스의 개념과 분석틀 : 제도주의적 접근
Ⅲ. 참여 거버넌스 사례분석 : 서울 북촌과 광주 북구 문화동
Ⅳ. 사례의 비교검토
Ⅴ. 결론
인용문헌

참고문헌 (2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09-539-018536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