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부산지역 민속의 지역성과 현황
3. 부산지역 민속연구의 현황
4. 부산지역 민속학의 과제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An Introduction to Korean Folk Bands and Folk Songs
Korea Journal
1987 .08
지역의 민요를 넘어 세계의 민요로-민요에 대한 문화론적 접근 - 권오경, 『한국민요현장과 경계넘기』(민속원, 2018)
어문론총
2019 .01
Folk Painting and Folk Aesthetics
Korea Journal
1977 .02
민속학 교육으로서의 민속극 교육
비교민속학
2003 .08
지역민속에 의한 지역문화 창출의 준거와 방향 : 안동지역의 네 가지 민속문화를 중심으로
민속학연구
2008 .12
민속음악과 교육
비교민속학
2003 .08
Korean Folk Music
Korea Journal
1962 .09
김소월 시의 민속적 상상력
한국문예비평연구
2017 .01
민속문학의 교육적 기능과 문예 창조력의 재인식
비교민속학
2003 .08
Brief Introduction to Traditional Korean Folk Music
Korea Journal
1975 .01
화천지역 물 관련 민속 연구
강원민속학
2008 .09
Some Patterns of Korean Folk Narrative
Korea Journal
1976 .01
러시아 모더니즘에 내재된 민속 시학 : 주문(呪文)과 우주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03 .12
韓國民謠의 敍述構造論
한국민속학
1993 .11
민간신앙을 활용한 한국어와 문화 교육-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2010 .01
도시속의 민속콘텐츠 활용양상 : 민속콘텐츠 개발 현황과 과제
실천민속학연구
2007 .02
전국민속예술축제의 역사와 성격
한국민속학
2009 .11
남도민속학회의 지향과 과제
한국민속학
2010 .05
송석하의 민속 및 민속학 개념의 전개양상
실천민속학연구
2017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