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허경 (고려대학교)
저널정보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과학연구 인문과학연구 제23집
발행연도
2009.12
수록면
429 - 452 (24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미셸 푸코(Michel Foucault, 1926-1984)는 1975년 발표한 『감시와 처벌: 감옥의 탄생』(Surveiller et Punir: La Naissance de la Prison)에서 플라톤 이래 서양 사회에서 권력(pouvoir)에 대한 주도적인 이론을 구성해왔던 권력의 사법적(juridique) 이론을 비판한다. 푸코가 말하는 권력의 사법적 이론이란 궁극적으로 권력을 부정적인 것, 즉 “~을 하지마라”라는 금지(interdiction)의 기제로서 바라보는 관점을 말한다. 권력에 대한 이러한 사법적 혹은 경제적 관점은 권력의 전반적 모습을 그려내기에 부적절한 것 혹은 불충분한 것인데, 그 이유는 권력의 이러한 부정적 관점이 권력의 생산적(productive) 측면, 즉 진리 혹은 진리의 담론을 생산해내는 기제로 작동하는 적극적 측면을 포착하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섹슈얼리티에 관한 담론에서 권력에 대한 이러한 입장을 대변하는 것이 프로이트의 욕망의 억압(repression) 및 그것의 해방(liberation)이라는 전통적 담론이다. 이러한 담론은 욕망을 단지 억압과 해방의 수동적 대상으로만 바라봄으로써 욕망이 갖는 긍정적이고 생산적인 기능, 구성적 효과를 제대로 포착해낼 수 없었다. 푸코의 1976년 저작 『성의 역사 1: 앎의 의지』(L'Histoire de la Sexualite 1: La Volonte du Savoir)의 관심은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의 욕망(desir) 및 주체(sujet)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었다. 이어진 8년의 침묵 끝에 자신이 사망한 해인 1984년 내놓은 『성의 역사』 제2권 및 제3권인 『쾌락의 활용』(L'Usage des Plaisirs)과 『자기에의 배려』(Le Souci de Soi)는 이렇게 부정적으로만 정향된 욕망 담론에 대항하는 새로운 담론으로서 소크라테스로 대변되는 고대 그리스의 쾌락의 활용 개념을 검토한다. 쾌락의 활용은 스스로를 형성하고 변형시키는 실존의 미학, 주체화에 종속되는 적극적이고도 긍정적인 자기의 테크놀로지이다. 쾌락의 활용은 고대 그리스에 있어 욕망에 대한 이성의 우위를 증명해야 할 헬라적ㆍ남성적ㆍ시민적 미덕으로 이해된다. 결국 쾌락의 활용은 자기 지배와 절도의 문제, 즉 능동적 절제와 수동적 무절제의 문제로서 이해됨으로써, 부정적ㆍ억압적 측면에만 집중하는 욕망 담론의 일면성을 부정하고 그것을 포괄하고 넘어서서, 지식ㆍ권력ㆍ윤리를 아우르는 존재론적ㆍ정치적ㆍ윤리적 주체화 혹은 자기의 테크놀로지의 긍정적ㆍ생산적 관점을 드러내기 위해 선택된 하나의 개념 장치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면서 - 권력의 사법적ㆍ경제적 관념의 비판
2. 『성의 역사 1: 앎의 의지』 - 권력ㆍ섹슈얼리티ㆍ진리
3. 성과 진리, 혹은 섹슈얼리티와 진리놀이
4. 진리놀이, 주체화, 실존의 미학
5. 쾌락의 활용 1 - 아프로디지아
6. 쾌락의 활용 2 - 자유와 진리, 실존의 미학
7. 나가면서 - ‘욕망의 억압’에서 ‘쾌락의 활용’으로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001-002617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