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노재철 (동남미래포럼)
저널정보
한국비교노동법학회 노동법논총 勞動法論叢 第十八輯
발행연도
2010.4
수록면
37 - 90 (54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this research, I have found the fact of the undocumented foreign workers, then I tried to find indirect solution for looking the problem they faced and this violations. I have classified that problem they faced by abusing in problem and solution for the undocumented foreign worker. Typical issues are that working condition, wages, medical problem, violence and human right issue, and industrial accident. And I can divide legal plans and policy proposals in the solution.
At first the plan of legal relations regardless of their stay qualification and labor’s three primary right guaranteed by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NLR) have to be applied in working field. In the social security law on social insurance for foreign worker, the related regulations of following mutualism rule should be checked. In the provision on protection of “emigration and the immigration control system”, compulsory arrest of undocumented foreign was criticized to severely. Also, compulsory deportation order should not be done until the procedure on formal objection against deportation order is done. As regulations of excessive politic activity are factor that violate freedom of expression, we need to compensate.
In supporting details of immigration control law, the professional accreditation system about emigration and immigration administration should be enforced. As the employment policy for foreign worker, a short term cycle system should be switched to a long cycle. A short system cannot be an effective method to prohibit foreign worker’s domicile according to the case of Germany.
In Germany, there is an over five year stay or limitless stay because of the unnecessary training expenses and incidental costs for foreign workers. In addition, the employment license system should be changed to labor license system which can be guaranteed freedom of transferring establishments. The undocumented foreign workers need remission system and legal social position.
Foreign worker policy was changed gradually in the passage of time. If this kind of policy timely to accept, it is possible to solve unregistered problem gradually.

목차

Ⅰ. 서언
Ⅱ. 미등록외국인근로자 실상
Ⅲ. 미등록외국인근로자 문제점과 권리침해 실태
Ⅳ. 미등록외국인근로자 문제 해결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65)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2)

  • 서울고등법원 2007. 2. 1. 선고 2006누6774 판결

    [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부칙(1997. 3. 13.) 제5조에서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에 노동조합이 조직되어 있는 경우에는 같은 법 제5조의 규정에 불구하고 2006. 12. 31.까지는 그 노동조합과 조직대상을 같이 하는 새로운 노동조합을 설립할 수 없다”고 규정되어 있는바, 위와 같이

    자세히 보기
  • 서울행정법원 2006. 2. 7. 선고 2005구합18266 판결

    [1]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령의 직접 위임을 받은 것은 아니지만 그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시행규칙 제2조 제4호에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부칙(1997. 3. 13.) 제5조에서 금지하는 복수 노동조합의 설립 여부를 행정청으로 하여금 판단할 수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336-002868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