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신상영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저널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國土計劃 第45卷 第4號
발행연도
2010.8
수록면
81 - 95 (15page)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Using 2005 Census and other data, this study analyze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ne person households in Seoul to draw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low-cost small housing provi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ne person households tend to concentrate on downtown, subcenters and university campus along subway transit belts. Yet, younger households and older households have some different locational tendency, though both are the most spatially concentrated group. Ouster analysis identifies three types of distinguished concentrations: downtown firstly, campus neighborhood and "one-room" in multiple occupation housing secondly, and "mini-one-room" in multiple occupation facility("go-si-chon") lastly.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while the residential locations of one person households are strongly related with housing stock by type, non-housing shelter stock, housing prices, commercial concentration, and regional accessibility of each neighborhood, different age groups shows different and in some case opposite relationships. The analysis suggests that policy-makers should be careful in housing and urban policies for one person households because one person households include such heterogeneous segments in residential tendenc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관련연구 검토
Ⅲ. 서울시 1인가구의 주거 및 공간적 분포 특성
Ⅳ. 서울시 1인가구 밀집지역의 유형
Ⅴ. 서울시 1인가구의 공간적 분포와 지역특성 간의 관계
Ⅵ. 결론
인용문헌

참고문헌 (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0-539-00269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