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논의의 배경
3. 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
4. 소녀 이미지의 볼거리화
5. 소녀 그룹 대중화 현상의 의미화: 삼촌 담론의 등장과 성장
6. 소녀 아이돌 그룹 소비 방식의 구성과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일본 소녀소설에서 보는 ‘소녀’ 표상‒요시야 노부코(吉屋信子) 『 꽃 이야기(花物語)』를 중심으로‒
일본근대학연구
2013 .01
어떤 소녀에게
중등우리교육
1993 .06
어떤 소녀에게
초등우리교육
1993 .06
소녀성과 육체의 미디어화 :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역사의 자기성찰적 해석
미디어, 젠더 & 문화
2006 .04
남성 아이돌 스타의 남성성 재현과 성인 여성 팬덤의 소비 방식 구성 : 샤이니와 2PM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2011 .09
팬덤과 페미니즘의 조우 :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팬덤 연구의 성과와 쟁점
언론정보연구
2018 .08
소녀들의 보다 나은 삶(Better Life for Girls) : “소녀들은 마음껏 꿈을 꿀 권리가 있다”
국제개발협력
2016 .02
아이돌 공화국 : 소녀 산업의 지구화와 소녀 육체의 상품화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1 .10
온라인 팬 커뮤니티 특성이 팬 커뮤니티 멤버들의 행동적 변화에미치는 영향: 소녀시대 팬클럽을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2014 .01
핸드폰을 이용한 소녀들의 놀이문화 연구 : 여고생들의 이용패턴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2006 .04
근대일본 소녀소설 연구‒『꽃 이야기(花物語)』의 에스 관계를 중심으로 ‒
일본근대학연구
2015 .01
20대 여성 팬덤의 감정 구조와 문화 실천 : 〈프로듀스 101 시즌2〉 팬덤을 중심으로
미디어, 젠더 & 문화
2018 .03
해독 패러다임을 넘어 수행 패러다임으로 : 팬덤 연구의 현황과 쟁점
한국방송학보
2015 .07
지체부자유 소녀의 성정체성 발달과 그에 따른 교육적 과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2009 .01
디지털 네트워크 시대의 초국가적 온라인 팬덤 : 2PM 팬포럼 Wild2Day 회원 인터뷰의 근거이론적 분석
미디어, 젠더 & 문화
2013 .03
소녀들을 만나다 : 여성청소년의 일상과 경험에 관한 짧은 기록
청소년문화포럼
2005 .06
성장, 그리고 20세기 소녀 소년 독본 : 소녀 소년을 읽다
중등우리교육
2001 .08
성장, 그리고 20세기 소녀 소년 독본 : 소녀 소년을 읽다
초등우리교육
200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