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Paul Levinson (포드햄대학교)
저널정보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언론정보연구 언론정보연구 제48권 제1호
발행연도
2011.2
수록면
7 - 28 (2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소셜 미디어 중 가장 화제가 되고 있는 뉴미디어인 트위터는 그래피티나 전보, 책 광고문 등의 간략한 형식들에서 역사적 근원을 찾을 수 있다. 소셜미디어 소비자의 소비자-생산자로의 전환은 트위터 사용자에게 정치인이나 유명인사가 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면서 트위터를 정치적 활동의 장, 그리고 엔터테인먼트의 영역으로 바꾸어놓았다. 문자 미디어, 그리고 멀티미디어로서 트위터는 살아 있는 유기체에서 계통발생론이 개체발생론을 되풀이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다른 모든 미디어들처럼 글쓰기와 그림에서 시작하여 사운드, 동영상으로 진화 해왔다. 또 생물계와 마찬가지로, 트위터는 다른 온라인 “유기체들”, 예컨대 페이스북이나 유튜브 등과 상호결합을 확대하며 우리 세계를 상호접속된 의식으로서의 “누스피어”에 더욱 가까워지게 하고 있다. 아울러, 트위터와 그의 후손 격인 포스퀘어는 스마트폰의 GPS를 통해 온라인에 있는 누구에게나 사용자가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려줄 수 있게 됨에 따라 현실과 가상세계를 결합해 가는 중이다. 트위터는 또한 트윗에 기초한 텔레비전 시트콤, 트위터에서 창작된 소설, 짧은 인터뷰로 만들어진 새로운 형식의 다큐멘터리 등을 이끌며 예술에도 점차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디어는 사람들의 필요를 얼마나 잘 만족시키는지에 따라 살아남는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디어로서의 트위터의 미래는 매우 전도유망하다.

목차

1. A Thumbnail History of the Brief Message
2. The Tweet in Politics
3. Twitter in the Courts
4. Twitter as Written and Multi Medium, and Biological Organism
5. Smartphones as Servants to Twitter
6. Cyberspace Meets Realspace on Twitter and Foursquare
7. Twitter and Facebook as Healthy Competitors
8. Twitter in the Arts
9. The Future of Twitter
References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2-070-004436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