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는 말
Ⅱ. 부흥운동의 배경과 전개
Ⅲ. 회개, 영성, 부흥
Ⅳ. 교회와 신학의 만남
Ⅴ. 나오는 말
Abstract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교회학교 부흥을 위한 교육방법 연구 : 베드로의 방법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정보
2007 .08
한국교회 초기 부흥운동의 사회심리적ㆍ신학적 고찰 : 원산 부흥운동(1903), 평양 대부흥운동(1907), 백만인 구령운동(1909) 중심으로
기독교교육정보
2011 .03
1907년 대부흥운동의 에큐메니칼 의미
신학과 목회
2006 .11
평양대부흥에 대한 재고
대학과 선교
2019 .01
회개와 부흥: 개혁파 신학은 무엇을 말하는가?
신학정론
2007 .11
조나단 에드워즈의 부흥관
신학지남
2018 .09
성경적 죄고백의 역사와 신학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8 .01
평양 대 부흥운동에 나타난 회개에 대한 성서적 고찰 및 이 회개가 한국인의 윤리의식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장신논단
2007 .06
회개(repentance)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2007 .06
부흥? : 신약성경에서 부흥신학의 기초를 찾을 수 있는가?
신학지남
2007 .12
1928-1930년 장로교의 평양부흥운동 :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과 관련하여
선교와 신학
2018 .02
영성신학의 과제와 한국교회
신학논단
1994 .06
Challenges of Revival Movements in Korea to the Reformed Theology
복음과 실천
1997 .09
종교개혁과 영국 부흥운동의 교회갱신적 영성운동
신학논단
1999 .06
평양 대부흥 운동의 성격과 의의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06 .07
부흥을 지향하는 신학교육 모델 : 부름, 준비, 참여의 교육
장신논단
2007 .12
교회갱신과 선교 : 웨슬레 운동과 1907년 대부흥 운동의 비교연구
선교와 신학
1999 .05
평양 대부흥운동과 길선주 영성의 도교적 영향
한국기독교와 역사
2006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