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천체(天體)의 움직임
3. 태음태양력(太陰太陽歷)과 역법(曆法) 의 기본 원리
4. 맺음말 - 『채전(蔡傳)』 의 성격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天文知識의 독점과 규제 : 宋政府의 天文規制措置와 天文敎育을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04 .02
方便子 柳僖(1773~1837)의 天文曆法論 : 조선후기 少論系 陽明學派 自然學의 一端
한국사연구
2001 .06
고구려 고분벽화의 天文思想 특징 : ‘三重 天文 方位 標指 體系’를 중심으로
고구려발해연구
1997 .06
≪甲骨文合集≫의 天文에 관한 主要 卜辭 考釋
중국어문학
2006 .01
천문강요(제19)
신학지남
1933 .01
천문강요
신학지남
1931 .01
천문강요(제15)
신학지남
1932 .05
천문강요(제8)
신학지남
1931 .03
천문강요(제9)
신학지남
1931 .05
천문강요
신학지남
1931 .11
천문강요
신학지남
1932 .01
천문강요
신학지남
1929 .11
천문강요
신학지남
1931 .09
천문강요(제14)
신학지남
1932 .03
천문강요
신학지남
1931 .07
천문강요
신학지남
193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