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이고들빼기 및 고들빼기 성분이 에탄올의 급성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고자 실험동물을 정상대조군(NC), 알코올 대조군(EC), 이고들빼기 잎 에탄올추출물 0.5% 첨가식이군(YDL), 이고들빼기 뿌리 에탄올추출물 0.5% 첨가식이군(YDR), 고들빼기 잎 에탄올추출물 0.5% 첨가식이군(YSL), 고들빼기 뿌리 에탄올추출물 0.5% 첨가식이군(YSR) 등 6군(7마리/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한 다음, 급성적으로 에탄올을 경구투여 하여 간 조직 ADH 및 ALDH의 활성 변동과 혈청 및 간조직 지질함량 변동 그리고 혈청 ALT의 활성 변동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급성에탄올 경구투여에 의해서도 간조직 ADH의 활성은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한 변동은 없었으나, ALDH의 활성은 에탄올에 의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잎 추출물 첨가식이군인 YDL 및 YSL군에서는 EC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YDL 및 YSL군에서는 에탄올의 혈중 농도가 EC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급성에탄올 투여로 증가하였던 혈청 TG와 total cholesterol 함량은 모든 실험식이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증가되었던 LDL-cholesterol의 함량은 YSR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식이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나 감소되었던 HDL-cholesterol의 함량은 YSR군에서만 EC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간조직 TG 및 total lipid 함량은 모든 실험군에서 EC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간조직 cholesterol의 함량은 YDL군에서만 EC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간조직 손상의 지표인 혈청 ALT의 활성은 급성에탄올 처치에 의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모든 실험식이군에서 대조군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보아 이고들빼기 및 고들빼기 성분이 급성에탄올 독성을 완화시켜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 성분들을 이용한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otective effects of an ethanol extract of Youngia denticulata leaf (YDL) and Youngia denticulata root (YDR), and Youngia sonchifolia leaf (YSL) and Youngia sonchifolia root (YSR) on acute ethanol- intoxicated rat. The rats were pretreated with an ethanol extract of YDL, YDR, YSL and YSR for 4 weeks before being exposed to ethanol (5 g ethanol, po/kg BW). The biochemical indices (hepatic alcohol metabolic enzymes and serum ALT activities, and hepatic and serum lipid profiles) were examin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s. The hepatic ADH activities i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by acute ethanol after a pretreatment with the YS and YD ethanol extracts. In contrast, the ALDH activity in EC (ethanol control) was higher than that of NC (normal control); these activities in the YDL and YSL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EC group. On the other hand, acute ethanol exposure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erum TG,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epatic TG, total lipid and cholesterol levels, and serum ALT activity, and a decrease in the serum HDL-cholesterol. A pretreatment with the YS and YD ethanol extracts dramatically attenuated these adverse effects. In particular, the YDL pretreatment markedly suppressed the ethanol- induced increase in the serum and hepatic TG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Furthermore, serum ethanol was decreased by a pretreatment with YSL, YSR, YDL, or YDR. Overall, YD and YS ethanol extracts attenuate acute ethanol-induced hyperlipidemia and fatty liver significantly. Nevertheless, further study will b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