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3. 난개발 수준의 측정 및 분석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경기도 시가지확산 지표와 도시계획 시사점 연구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2007 .11
The Property Tax and Urban Sprawl
서울도시연구
2001 .09
The Evaluation of Growth Control Policies for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hrough Sprawl Indicators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05 .06
경기도 시가지확산에 따른 공간적 영향 연구 : 근교, 원교의 토지이용과 주거환경을 중심으로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2008 .11
도시 스프롤 측정 방법으로서 밀도 기반 스프롤 지수 특성 평가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5 .01
리드 유잉: 스프롤의 정량적 평가모델 개발 : 스프롤에 따른 비용과 혜택 및 주요 이슈
국토
2014 .05
수도권 스프롤 양상의 시공간적 변화 : 공간구조 기반 접근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6 .08
수도권의 난개발지수 산정 및 통행패턴과의 연관성 분석
국토연구
2010 .03
수도권 도시 스프롤 평가에 따른 도시성장관리 및 도시재생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2019 .03
수도권지역의 시가화 확산 결정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2006 .06
Home-Work Separation and the Impacts of Housing Reform and Urban Sprawl : Evidence from Household Survey Data in Beijing, China
대한지리학회 컨퍼런스 자료집
2008 .10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공간구조의 확산-압축패턴 측정
국토연구
2006 .12
비도시 지역의 공장 개별입지 난개발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12 .12
미국 포틀랜드 시의 스마트 성장에 관한 비판적 고찰 : 미국 51개 대도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19 .03
난개발 방지를 위한 개발행위허가제 개선방안
경기논단
2008 .06
도시성장경계가 도시 밀도와 도시 스프롤에 미치는 영향 : 비교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0 .10
The Effectiveness of the Greenbelt Policy as an Urban Growth Control Tool : The Case of Daegu City, Korea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03 .09
통계자료를 이용한 공간적 변동파악에 관한 연구 : 수원시 도시성장과정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001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