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전덕재 (단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고대사학회 한국고대사연구 한국고대사연구 65
발행연도
2012.3
수록면
77 - 116 (40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고는 한국 古代의 百戱雜技와 舞樂의 종류 및 내용, 傳承過程, 사회적 기능을 검토한 것이다. 고구려의 고분벽화에 다양한 百戱雜技와 舞樂이 전하고, 이밖에 고대의 백희로서 弄珠, 伎樂, 馬技, 蹴鞠, 角抵와 手搏, 水石戰, 舟戱 등이 있었다. 그리고 舞樂으로 胡旋舞와 歌芝栖, 신라의 여러 鄕樂과 鄕樂雜詠에 전하는 가무, 御舞詳審과 玉刀鈐, 處容舞와 無?戱, 踏鎚 등이 있었다. 고대의 무악 가운데 무애무, 처용무, 황창랑무등이 내용이 약간씩 바뀌면서 고려와 조선시대까지 전승되었고, 고대사회에서 백희와 무악은 정치지배자나 국가가 정치적 통합력을 강화하거나 사람들의 스트레스 해소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문화교류와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또한 복을 부르고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기 위하여 백희잡기와 무악을 자주 공연하기도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百戱雜技 및 舞樂의 종류와 내용
Ⅲ. 古代 舞樂의 전승과 그 사회적 기능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911-003347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