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전분원료의 종류, 쌀의 도정도, 누룩의 종류를 달리하여 담근 막걸리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밀가루는 쌀보다 조지방과 조단백 함량이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낮았고, pH 및 총산함량은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기산은 각각 lactic acid와 succinic acid였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각각 4.0∼5.6 mg/mL와 3.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기산 함량이 더 많았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리당은 glucose였으며,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76.41∼54.53 mg/mL와 67.7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리당 함량이 더 많았다. 색도는 쌀 품종별로는 차이가 없었으며,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b 값은 양의 값으로 황색이 진했다. 관능평가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보다 기호도 점수가 더 높았다. 쌀의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acet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나, pH, 총산, 유리당, 색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쌀의 도정도는 과실향을 제외한 기호도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pH는 각각 4.29∼4.65와 4.20∼4.23으로 전통누룩으로 만든 막걸리의 pH가 더 높았으며, 총 유기산 함량도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3.5∼6.3 mg/mL)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2.3∼4.3 mg/mL)보다 높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9.44∼73.34 mg/mL)가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6.45∼59.75 mg/mL)보다 많았다. 색도는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보다 L, a, b 값이 높았으며, 관능적 기호도 점수는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만든 막걸리에 비해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보이나, 쌀의 품종에 의한 품질 차이는 없었다. 쌀의 도정도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은 향미의 관능적 특성 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도정을 많이 할수록 막걸리의 향미가 좋아졌다. 누룩 종류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분석 결과, 전통 누룩에 비해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이 더 좋았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도정도가 높은 쌀을 전분질 원료로 하고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막걸리를 담근다면 품질이 우수한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and compare makgeolli (a Korean rice wine) made using different raw materials. Five cultivars of rice and wheat flour were used as starch materials for makgeolli and assessed for their moisture, crude lipid, crude protein, and crude dietary fiber content. Overall, wheat flour was higher in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and lower in moisture than rice. Makgeolli characteristics were assessed for pH, total acids, organic acids, free sugars, color and appearance.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and total acids between makgeolli made from rice and wheat flour. In addition, the major free sugar in the makgeolli made from rice and wheat flour was glucose, although the content of total free sugars was lower in the wheat flour makgeolli (67.75 mg/mL) than the rice makgeolli (76.41~84.53 mg/mL). In terms of organic acids content, the total organic acid content was highest in the wheat flour makgeolli, while the major organic acids of the makgeolli made from rice and wheat flour were lactic acid and succinic acid,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values among rice makgeolli, but the rice makgeolli was higher in sensory scores (indicating preference) than the wheat flour makgeolli. As the degree of milling increased, moisture, crude lipid, and crude protein in the rice decreased. Acetic acid in the makgeolli also decreased,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 total acids, free sugars, color values, and sensory scores (except fruitiness). Traditional nuruk (TN) and cultured nuruk (CN) were compared as fermentation starters. Nuruk is a Korean traditional starter for fermentation of makgeolli and a raw material for makgeolli making. The pH in the makgoelli made with TN and CN were 4.29~4.65 and 4.02~4.23, respectively. Total organ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TN makgeolli (3.5~6.3 mg/mL) compared to the CN makgeolli (2.3~4.3 mg/mL). The content of free sugars in the makgeolli made with CN was higher (59.44~73.34 mg/mL) than that with TN (56.45~59.75 mg/mL). The Hunter color test showed that makgeolli made with TN was lighter and higher in red and yellow color compared to CN. Overall sensory acceptability was higher in the CN makgeolli compared to the TN makgeol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