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승미 (우석대학교) 송혜림 (울산대학교) 이완정 (인하대학교) 성미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진미정 (서울대학교) 이현아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가정과삶의질학회 가정과삶의질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30권 6호 (통권 제120호)
발행연도
2012.12
수록면
183 - 199 (1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ince the Framework Act on Healthy Families came into effect in 2005, family policy has become a primary field of social policy, and "famil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keyword for solving Korean society"s various phenomena and problems. In order to seek practical plans for reforming social policy through family policy, this thesis has analyzed the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amilies in relation to where Korean families currently stand and the situation they are facing. This thesis has also reviewed the content of family policy in the master plan of healthy families, the starting point of the actual family policy, and other related policies. It also has analyzed the key content of child care support policy. From these various analyses and discussions, this thesis has emphasized "family care" as the keyword of family policy, family effect analysis as the means of reinforcing family perspective, and family integrity for policy effective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목적 및 방법
Ⅲ. 한국 가족의 전환기적 특성
Ⅳ. 가족정책의 분석과 진단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

참고문헌 (74)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400-000473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