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의 전반적인 양상을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직무만족도의 설명력이 어떠한지를 알아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북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04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를 설문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증과 F 검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을 위해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다.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직무만족도의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회복탄력성은 보육교사의 개인특성 중 직급과 연령에 따라 자기조절능력과 긍정성, 대인관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보육경력, 최종학력, 직급,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경력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직급은 원감이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회복탄력성 중 긍정성 요인이 직무만족도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re day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 Gyeongbuk. KRQT(Korean Resilience Quotient Test) developed by Kim(2011) and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by Shin(2004) were utilized in this study. Statis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dependent t-test, F-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of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appeared according to teaching careers education level, their position and their age.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higher, when they are in high teaching career group, in the position of assistant principal and in the age of 30-34. Second, according to their position and age, resilience mean score(each of th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Third, the resilience, explained about the variance of the child care teachers" jobsatisfaction scores, especially "optimistic attitude" was very important variable in improving job satisfaction. Finally researchers suggested a few direction of resilience-related study and for developing pre- and in 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