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연구보고서
저자정보
이상대 (경기개발연구원) 박신영 (경기개발연구원) 홍순영 (경기개발연구원)
저널정보
경기연구원 경기연구원 기본연구 기본연구 2011-08
발행연도
2011.12
수록면
1 - 129 (1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Currently,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of Korea is the low fertility - ageing society. The aggregate birthrate of Korea does not surpass 2.0 per woman and the rate of old person(over 65 years old) had marked 7% already in Korea and Gyeonggi Province.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urban policy change response to the low fertility-ageing society and to know how to do.
The direction of urban policy change response to the low fertility -ageing society is not to build the houses and facilities for accommodating pregnant woman and old person but to make pregnant woman and aged person-friendly urban space with well combined housing, transportation, cultural and welfare facilities. This policy is a kind of adaptation policy response to the phenomenon of the low fertility -ageing society. So, we have to do more challengeable policy approach to introduce young person and well educated and skilled foreigners into city centre.
In getting urban policy chang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breaking the policies of suburban newtown development, supply-oriented housing development and mobility-based transportation investment. To do so, we have to decrease index of city population and housing provision, to change from suburban newtown development to inner city regeneration, to focus on walkability transportation facilities, to implement barrier-free and universal design concept, and to introduce younger city programs.
In addition, to implement the urban policy change response to the low fertility-ageing society, I would like to suggest 4 strategies and 12 policy tools.
The 12 policy suggestions are i) investigation on barriers of city and countryside for pregnant woman and aged person ii) building complex town of residential-child care-educational facility iii) designation of aged person-friendly district iv) restructuring and collecting countryside villages v) rebuilding residential service facilities for old person vi) integrated residential and public health service system vii) leisure and cultural infra for aged person viii) supply of 3 generation lifelong house ix) providing retirer"s house x) law making of community development act response to the low fertility-ageing society xi) Gyeonggi Provincial urban planning ordinance response to the low fertility-ageing society, and integrated provincial government department for implementing policies of low fertility-ageing society.

목차

[표지]
[머리말]
[연구요약]
[Abstract]
[차례]
표차례
그림차례
[제1장 연구의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과 범위
제3절 연구의 방법
[제2장 저출산 고령사회에서의 도시정책 이슈와 과제]
제1절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개념 정의와 문제인식
제2절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연구 사례
제3절 저출산 고령화에 대응한 법제도와 각종 정책 및 계획 내용
제4절 저출산 고령화에 대한 도시정책 이슈와 과제
[제3장 저출산 고령화 추세와 공간적 실태분석]
제1절 저출산 고령화 추세와 전망
제2절 경기도내 시·군별 저출산 고령화의 실태분석
제3절 고령인구의 인구이동 실태분석
제4절 경기도 고령인구의 경제적 활동 실태분석
제5절 분석결과의 종합
[제4장 선진국의 고령화 대응 도시정책 사례]
제1절 세계의 저출산 고령화 추세
제2절 선진국의 고령화 대응 도시, 주택정책
제3절 선진국 사례의 시사점
[제5장 저출산 고령사회에 대응한 도시정책 전환전략]
제1절 저출산 고령사회에 대응한 도시정책 패러다임 정립
제2절 저출산 고령화에 대응한 도시정책의 전환방향
제3절 저출산 고령화에 대응한 도시정책의 추진전략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안]
제1절 결론
제2절 정책 제안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300-003675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