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주택의 투자대상으로서의 가치인식은 한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거주민들은 사용가치관점에서 공간소비자로서의 문화와 다양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 속에서 헤이리예술마을의 경우 계획초기단계부터 문화예술인들의 자발적인 연대를 통해 ‘문화?예술마을’ 이라는 이상적 주거공간을 형성하고, 생태환경을 최대한 보존하고자 노력하였다. 즉, 관성적인 격자형 개발에서 벗어난 토지이용과 심미적 디자인의 주택과 조형물, 문화?예술과 전시?공연이 공존 하는 주거단지 계획은 기존의 주거지개발과는 차별되는 실험적이며 선구적인 주거단지개발을 위한 시도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술인들의 공동주거지인 헤이리예술마을이라는 장소를 연구사례지로 선정하여 방문객들이 이용자 관점에서 ‘어떻게 느끼고 받아들이고 있는가’에 대하여 체감적 측면에서 탐색하고, 방문객들이 인식하는 장소성 요인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도출하고자 하였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5개의 요인의 구성항목을 살펴보면 1요인은 주거환경과 관련된 ‘편안함’, ‘여유감’, ‘정서안정성’, ‘자유로움’, ‘정화감’으로, 2요인은 건축물들에 대한 ‘참신함’, ‘다양성’, ‘실험성’, ‘신기함’으로, 3요인은 건축물들에 대한 ‘자연조화’, ‘경관미’, ‘섬세함’, ‘세련미’로, 4요인은 주거환경에 대한 ‘자연스러움’, ‘친환경성’, ‘변화감’, ‘계절감’으로, 마지막 5요인은 마을과 관련된 ‘이국성’, ‘고급성’, ‘전원성’, ‘회화성’으로 방문객들이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Heyri Valley formed an ideal residential area by creating a “culture and art village” through voluntary collaboration of artists from the beginning of its development. Furthermore, Heyri Valley attempted to develop an experimental and pioneering residential area, which w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 urban development in various aspects such as the village structure far from a grid type structure, a variety of residential buildings and sculptures with modern design, production of culture and art, such as exhibitions and performances.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eyri Village, a co-residence for many artists, aiming at explore how the visitors have felt it in psychological, emotional aspects, and identifying the placeness recognized by the visitors, by analyzing the exploring factors. The five factors that the visitors recognized were: first, in relation to residential environment, comfort, sense of relaxation, emotional stability, sense of freedom and cleanliness; second, in relation to constructions, genuineness, diversity, experimentalist and novelty; third, also in relation to constructions, harmony with nature, beauty of the scenery, delicacy and sensibility; forth, in relation to residential environment, naturalness, environment-friendliness, sense of change, sense of season; and finally, fifth, in relation to village, exoticism, sense of luxury, pastoral beauty and picturesque beau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