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표지]
[Ⅰ. 왜 마을만들기인가?]
전면철거 방식의 재개발은 서민 저층주택 멸실, 마을공동체 해체 야기
서민 저층주거지를 보전하면서 주거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 필요
마을만들기는 주거지의 보전?개선, 마을공동체 회복을 위한 대안으로 등장
서울시의 뉴타운사업 출구전략을 계기로 마을만들기가 확산되는 추세
경기도는 시ㆍ군의 선도적 경험을 토대로 지원체계 구축 모색
주거지정비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향후 마을만들기의 위상 강화 전망
[Ⅱ. 마을만들기의 성과와 한계]
1990년대 중반 이후 마을만들기 본격 등장
마을에 대한 관심 촉발, 저층주거지 재생 가능성 확인은 주요 성과
성과지향적 관행, 기존 사례 답습, 재원확보 문제 등은 풀어야 할 과제
[Ⅲ. 성공적인 마을만들기를 위한 조건]
지역주민 공통의 관심사에 기반한 마을만들기 추진
단기적ㆍ외형적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
최선이 아닌 차선이더라도 상호합의를 통한 결정을 중시
민관협력을 통한 문제해결 역량 향상
주민조직화 및 주민 리더 육성
전문가, 시민단체는 주민역량 개발 지원 및 행정과 주민을 중재
마을만들기 조력자로서 행정의 역할 정립
마을만들기의 체계적 지원을 위해 중간지원조직 운영
[Ⅳ. 시사점]
마을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 변화가 전제될 필요
마을만들기를 뉴타운사업의 대안적 정비수법으로 한정하는 경향 탈피
마을만들기의 양적 확대보다는 확실한 성공사례를 만드는 노력 필요
경기도는 마을만들기 활성화를 위해 지원체계를 구축
[주요 마을만들기 사례]
[쟁점과 대안]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