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과 경전철을 의미하는 도시철도는 수송효율이 높아 대도시의 교통난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나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에 비해 보급률이 저조하다. 수도권의 경우 노선 및 역사수가 계속 증가하고 통행량도 증가추세이나 업무종사자가 많은 지역은 높은 혼잡률로 혼잡하고 타 지역은 도시철도와의 접근성 지표가 낮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철도 이용시 불편사항을 파악하고 서울시 행정구역과 주요 도시에 대한 접근성 모형을 적용해 결과를 도출하고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way of relieving traffic congestion, urban railway which means subway and light rail has been used for high traffic efficiency, whereas, distribution rate remains low compared to foreign countries such as USA, UK, German, Japan. In metropolitan area, lines and stations for urban rail, trips have been increased continuously but high density areas of employees have suffered from high load factor and other areas have low accessibility index. This study aims to analyze inconvenient details for customers and suggest the result of improving measures of accessibility by applying accessibility model for district of Seoul and other c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