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 내에 발생되는 질환의 대부분은 타액의 영향을 받는다. 타액분비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에서 스트레스에 광범위하게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에게 나타나는 타액분비장애는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데, 스트레스가 타액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는 자율신경에 의한 반응에 대하여만 알려져 있고 세포수준의 미시적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속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타액선 세포의 변화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구조적인 변화를 관찰하였고, 세포자사와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clusterin를 이용하여 백서 이하선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재료로는 웅성백서 18마리를 사용하였으며, 정상대조군 2마리, 실험대조군 2마리, 실험군 14마리를 배정하였고, 실험대조군과 실험군은 매일 2시간씩 restraint cone을 사용하여 구속스트레스를 부여하였다. 이들은 각 군별로 즉일(실험대조군),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에 각각 2마리씩 희생한 후 이하선 조직을 절취하여 전자현미경검사와 clusterin 단백질 검색을 위한 면역조직화학검사를 시행 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광학현미경 하에서, 백서의 이하선은 구속스트레스에 의하여, 스트레스가 반복됨에 따라 선포세포, 선포엽간 조직, 선포간 결체조직이 변성되어, 선포 간 이개 현상이 나타났으며, 실험 4일 후에는 선포 내에 공포가 관찰되었고 많은 수의 선조관이 관찰되었다. 2. 전자현미경 하에서, 백서의 이하선은 구속스트레스에 의하여, 선포세포 내의 층판상 구조인 rER이 실험 3일 후에 부종이 시작되기 시작하였으며, 4일 후에 심화되었고, 5일 후에는 심하게 부종되어 변성된 상이 관찰되었다. 3. 백서의 이하선에서 clusterin은 구속스트레스에 의하여, 선조관의 세포질에서 소실되었고, 개재관에서는 3일 후까지는 미약하게, 4일 후에는 매우 증가되었다가, 실험 5일 후부터는 점차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다.
It has been known that saliva may affect the most of oral diseases. On the contrary, several systemic conditions may affect salivary flow and cause oral dryness and psychosocial stress especially may a crucial role in the etiology of hyposalivation and oral dryness.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macroscopic effects of the stress on the salivary glands by autonomic response, but on the other hand it has hardly been reported on cellular microscopic effects of the stress on the salivary gland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clusterin, a antiapoptotic and cytoprotective protein, in the parotid glands under restraint stress condition. For this study, 18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1) 2 rats of group Ⅰ were selected as a normal control. 2) 2 rats of group Ⅱ, as a experimental control were placed in the restraint cone for 2 hours 3) 14 rats of group Ⅲ were placed in the restraint cone for 2 hours once a day. The rats were sacrificed immediately(group Ⅱ, as a experimental control), 1, 2, 3, 4, 5, 6 and 7 days after application of the stress and the both parotid glands were excised. Immunohistochemistry and electron microscopy were performed. The finding were as follows: 1. In parotid glands, repeated stress denaturalize the acinar cells, interacinous tissues and interacinous connective tissues were separated to individual acinar cells. After 4 days of experiment, there were lots of vacuoles and intercalated ducts. 2. In parotid glands, repeated stress make the rER which is in acinar cells swollen after 3 days of experiment and it was intensified to 4 days. After 5 days of experiment the edema got worse and degenerated. 3. In parotid glands, clusterin was reduced in ductal cell cytoplasm but in intercalated duct clusterin was slightly stained until 3 days prominently increased until 4 days and then decreased again after 5 days of experi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