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대회자료
저자정보
단경위 (한양대학교) 신경주 (한양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발행연도
2012.5
수록면
191 - 194 (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Korea and China have a long history of active communication since they are close geographically and share similar culture. Both Korea and China located in East Asia, use Chinese character and influenced by Confusion. At the same time, after thousand of years corporation and competition, each country developed its own unique culture and living environments. “House” is the physical form of “Home” representing the way people live, behave and their valu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s the population of people increase rapidly, apartments become the typical home of Chinese and Korean. Used the number of analysis cases are 240(Seoul 120 and BeiJing 120) apartment unit plans in 2000s and 2010s for this study. This paper is going to compare and contrast the interior of apartments and compare the entrance, hall, livingroom, kitchen, diningroom, bedroom, bathroom and enviroment, culture, lifestly in Seoul and Beijing in order to understand bett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ultures.

목차

Abstract
1. 서론
2. 한ㆍ중국의 자연환경 및 주택 고찰
3. 한ㆍ중국의 아파트 평면 공간구성방식 분석 틀
4. 한ㆍ중국 아파트 평면의 공간구성 사례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4-610-003308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