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N스크린 환경에서 TV를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TV 프로그램 시청과 동시에 이용되는 다양한 미디어들의 현황 및 이용자들의 다중미디어 이용행태, N스크린 환경에서 이용되는 TV프로그램들의 특성을 고찰하기위해 뉴미디어이용이 활발한 18~34세 시청자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TV는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을 비롯한 인기 콘텐츠를 중심으로 스토리를 제공하는 1차 스크린으로 기능하고 있으며(84.5%, n=566), 이용자들은 개인 미디어를 통해 참여, 공개, 대화, 커뮤니티, 연결 등 소셜기재를 활용하여 TV에 나온 이야기들을 재생산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콘텐츠는 내용 및 이용자의 상호작용 특성에 따라 ‘감정자극형’, ‘정보생산형’, ‘참여형’으로 유형화되었으며, ‘참여형’은 상호작용 정도에 따라 ‘관람형’, ‘희망형’, ‘결과보장형’의 3단계로 다시 세분화되었다. 2주간에 걸친 다이어리 조사와 초점집단 인터뷰 연구를 통해, 동일시간, 동일장소에서 같은 프로그램을 시청하더라도 이용자들은 자신의 이동형 개인미디어를 통해 지금 TV를 통해 소비하고 있는 콘텐츠를 각자의 방식으로 재생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N스크린으로 인한 환경 변화가 미디어 이용의 맥락과 행태에 가져온 변화로, 스크린의 증가와 소셜미디어의 확장 속에 TV가 스토리 창조의 원천으로 작용하며 스토리 재생산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analyzed the media which is simultaneously used with TV viewing, the behaviour of multiple media us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V programs under Nscreen circumstances. According to the results, TV provides stories and positions it as the main screen (84.5%, n=566), under the Nscreen circumstances. Personal media reproduces stories from TV by utilizing aspects of social media functions such as participation, open communication, community, connectivity, etc. The content is classified, open communication, community, connectivity, etc. The content is classified under three categories: 1) elicit emotion(point feeling), 2) information production, 3) participation, which is further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 watch, wish, and result guarantee based on the level of interactivity. This inquiry is based upon diary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emphasized the role change of TV, specifically that TV takes a key role in generating original stories with the expansion of screen and social media. Even though users were able to watch the same TV programs at the same time and same place, the different methods of viewing: smartphone, tablet PC, web based mp3 and etc., it reproduced different stories and elicited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its TV view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