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관계는 신약에서의 구약 ‘사용’ 측면에서 연구되어왔다. 이러한 ‘사용’은 신약의 입장에서 구약을 바라보는 방식으로 예표론적 사용, 인용, 암시, 반향, 복귀, 성취 등을 지칭하였다. 구약과 신약이 소통한다고 주장하기 위해, 이 글은 이와 같은 전형적인 신약의 구약 ‘사용’과 함께 신약에 대한 구약의 ‘기대’를 다룬다. 구약이 신약을 기대하고 신약이 구약을 중요하게 ‘사용’한다는 두 가지 내용을 모두 성경을 통해 확인할 때, 구약이 신약과 소통하고 신약은 구약과 소통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이 글은 먼저 2003년에 출판된 ??그들에게 자비를 베풀지 말라??라는 책을 평가함으로써 구약을 제외시키는 말시온 식 경향을 재고한다. 또한 많지는 않지만 구약이 신약을 기대한다는 것을 보여줄 만한 충분한 예들을 제시한다. 더불어 구약과 신약의 소통을 해석학적 요소들 즉, 한 분 하나님, 같은 믿음을 가진 기자들,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청중, 시간, 공간, 언어, 문화, 사상/신학적 견지에서 재확인한다. 끝으로, 저자는 구약과 신약의 소통을 통해 발견되는 특징을 성경과 현대 신자간의 소통 및 현대 신자 상호간의 소통에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ld Testament and the New Testament has been mainly studied in terms of the ‘use’ of the OT in the NT. This ‘use’, based on the NT and pointing to the OT, may refer to typological use, quotation, allusion, echo, repetition, rehabilitation, fulfillment, etc. In order to insist that the OT communicates with the N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OT ‘expectations’ for the NT along with the typical ‘use.’ It is because, when both the OT expectations and the NT uses can be read in the Bible, it is likely that the OT communicates with the NT and vice versa. Marcion’s tendency to discard the OT is examined by reviewing “Show Them No Mercy” published in 2003 by Zondervan. Also, not many but enough examples of the OT expectations for the NT are provided. Furthermore, the intercommunication between the OT and the NT is confirmed by the hermeneutical elements, namely the one God, authors who have the same faith, the reader and audience as God’s people, time, space, language, culture, and theology. Lastly, the present author suggests the features found in the intercommunication of the OT and the NT may be applied to that of the Bible and the modern believers, and to that of believers themsel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