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16대 총선과 여성정치인 수적 증가에서 나타난 긍정적 양상
3. 16대 총선이 남긴 과제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대 총선에서 나타난 여성 정치의식과 투표참여 그리고 효능감 : 사회적 자본 접근법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2016 .11
여성의 정치참여
젠더와사회
1990 .12
한국 여성의 정치참여
젠더와사회
1993 .03
[국회사무처] 제15대 총선결과분석
국립중앙도서관 연계자료
1996 .01
한국 여성의 정치참여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1992 .12
90년대 여성운동 : 정치참여 어떻게 할 것인가
아시아여성연구
1990 .12
한국 여성의 정치참여와 여성정책에 관한 연구: 1960년대부터 현재까지 : 여성 정치참여와 여성교육 및 정책의 변화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2004 .05
여성운동계의 갈등은 필연인가 위기인가 : 17대 총선에 나타난 여성계의 논쟁을 중심으로
여성과 사회
2004 .05
지방선거 여성후보자의 성격과 선거과정 : 2014년 6.4 지방선거 경남지역 여성후보자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6 .03
여성정치세력화 운동의 딜레마와 이중전략
젠더와 문화
2017 .12
The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of 2007: Five Years on from the "Internet Election"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JCEA
2008 .01
한국의 여성정치와 여성정책
젠더와사회
1998 .04
한국 최근 정치캠페인에서 나타난 크리에이티브한 선거광고홍보전략 트렌드 분석 -2010. 6․2지방선거, 2011. 10․26 보궐선거 2012. 4․11 총선, 2012. 12․19 대선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2013 .01
한국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대를 위한 여성할당제의 효과
페미니즘 연구
2014 .10
2012년 총선, 성(gender/sexuality) 정책의 양상
여/성이론
2012 .06
여성의 정치참여와 자아실현
젠더와사회
1992 .03
여성의 정치참여와 자아실현
젠더와사회
1992 .03
상향식 공천제와 여성의 대표성
아시아여성연구
2012 .05
[특집 : 여성과 정치] 한국 정치문화와 여성
현상과인식
2004 .09
보수 여성 주체에 대한 연구 : 20대 총선 부산여성총연대의 활동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2016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