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시의 각 권역별로 도시재생의 주요과제인 환경재생, 경제재생, 생활재생에 대한 주민들의 체감정도, 그리고 주민들의 만족도와 공동체의식을 살펴보고, 도시재생사업이 주민의 마을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이루어졌다. 한국공공사회학회가 서울시의 마을공동체 만들기 활성화방안을 수립하기 위하여 서울시민 750명의 표본을 조사하여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서울시의 권역별 구성은 서울시장이 주택문제와 교통문제 등 생활권역 간의 불균형을 기준으로 구분한 5개 권역을 참고하여 도심권(종로, 중구, 용산), 동북권(도봉, 농원, 강북, 성북, 동대문, 중랑,광진, 성동), 서북권(은평, 마포, 서대문), 서남권(관악, 동작, 강서, 구로, 금천,양천, 영등포), 동남권(송파, 강동, 강남, 서초)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도심권과 동남권이 동북권, 서남권, 서북권에 비해 환경, 경제,생활 모든 면에 있어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민들의 만족도와 공동체의식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재생과 환경재생은 주민의 마을만족도와 공동체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경제재생은 주민의 마을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생활재생과 환경재생이 주민의 공동체의식에 영향을 미칠 때 주민의 마을만족도는 부분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였으며, 경제재생이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칠 때 주민의 만족도는 완전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nfirm differences of citizens" cognition about urban regeneration, village satisfaction and community spirit among regions in Seoul and how urban regeneration effects on village satisfaction and community spirit of the citizens of Seoul. For this study, the data develop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Society through 750 citizens of Seoul was used. Seoul was divided into five regions; downtown, northeast, northwest, southwest and southeast on the basis of criterion made by the Mayor of Seou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downtown and southeast area have higher environmental, economic and living condition than northeast, southwest and northwest area. The citizens" village satisfaction and community spirit in downtown and southeast area are also higher than those in northeast, southwest and northwest area. Living and environmental regeneration affect citizens" village satisfaction and community sprit positively but economic regeneration negatively. Citizens" village satisfaction acts as a parameter partially when living and environmental regeneration affect citizens" community sprit but completely when economic regeneration affect citizens" community spir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