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강은 쌀 도정의 부산물로 다양한 연구에서 미강의 생리활성 구성 요소의 항산화, 항암, 면역 강화,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보고되어 미강을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미강을 첨가한 제품의 품질과 관능?기호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이고, 미강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미강 추출물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안정화 미강 첨가가 항비만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지 생리적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in vivo model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C57BL/6 마우스에 6주간 고지방식이를 급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고, 미강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제품 개발 시 기능성을 유지하는 적정 첨가비율을 확인하기 위해 안정화 미강 분말을 고지방 식이에 각각 20%, 40%를 첨가하여 7주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고지방 식이에 미강을 20% 첨가한 HFRB20군은 HFD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고지방 식이에 미강을 40%첨가한 HFRB40군에서 체중 증가 억제와 지방 조직 무게감소 효과 및 혈당 저하와 leptin 농도의 감소를 보였고 항산화 효소 활성을 개선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안정화 미강의 식이 섬유소와 그 외의 주요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시너지효과를 나타냈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안정화 미강을 이용하여 생리적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 개발에 안정화 미강의 첨가량은 40%가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7주의 단기 연구를 수행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으나 HFRB20군에서 비만과 항산화 및 관련 지표가 개선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므로 장기간 섭취 시의 효과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Rice bran (RB), a by-product obtained during polishing of un-milled rice, contains a large quantity of essential nutrients such as minerals, vitamins, fiber, amino acids, and antioxidants. In this study, the anti-obesity effects of stabilized RB addition as a food material in a diet-induced obese animal model were investigated. For the analysis, a total of 32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ND, n=8), high-fat diet group (HFD, n=8), 20% RB added high fat diet group (HFRB20, n=8), and 40% RB added high fat diet group (HFRB40, n=8).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7 weeks. Body weight gain, various adipose tissue weights, blood glucose concentration, and serum leptin level of the HFRB40 group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HFD group. Moreover, antioxidant enzyme activity of the HFRB40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FD group. However, the HFRB20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val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RB (40%) addition reduces body weight gain and improves obesity-related parameters. These results suggest RB could be considered as a functional additive material for the manufacture of anti-obesity products, and 40% RB addition would be the physiologically effective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