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종철 (미야자키 국제 대학)
저널정보
서양미술사학회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서양미술사학회 논문집 제41집
발행연도
2014.8
수록면
181 - 209 (29page)
DOI
10.16901/jawah.2014.08.41.181

이용수

DBpia Top 1%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최근 미디어 아트의 이론과 실천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연구자들 ? 레프 마노비치나 피터 바이벨 등과 같은 ? 의 이론적 성취와 한계를 되짚어 보고, 그 속에서 흔히 간과되고 있는 미디어의 미학적이고 형식적인 조건들을 비평가 로잘린드 크라우스가 지난 십여년간 “포스트 미디엄 조건(Post-Medium Condition)”이라는 용어 아래 진행한 일련의 논의들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후기 매체 이론의 새로운 지형도를 그려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물론 크라우스의 포스트 미디엄 이론은 마노비치나 바이벨의 포스트 미디어 이론과 다른 논리적, 역사적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크라우스의 주장은 최근 디지털 미디어 아트의 담론에 중요한 전환적 사유를 제공해주는데, 이는 ‘매체를 예술적 의도와 주장을 위한 “기술적 지지체(technical support)”로 정의하고, 예술가들이 이 지지체를 기존의 부정적 조건들(후기 매체 시대의 반예술적 조건들)에 탄력적으로 반응시키는 가운데, 그로부터 스스로를 재규정하는 규칙(recursive rules)을 발견하고 구체화한다’고 보는 그녀의 이론이 형식의 무규정성, 소통의 부재, 반예술적 태도 등으로 소급되는 디지털 미디어 아트의 위기에 보다 발전적인 대안을 제공해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말미에서는 특히 크라우스의 이 형식적이고 일면 회고적인 ‘포스트 미디엄 이론’이 어떻게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주요 논거들과 융합될 수 있는지, ??예술 이후 After Art??(2013)라는 최근 저작에서 이론가 데이빗 조셀릿이 전개한 일련의 수정주의적 디지털 매체 이론을 통해 조망해 봄으로써, 어떻게 오늘날 미디어 예술이 그것의 혁신성과 역사성 모두를 수렴할 수 있는지 가늠해 본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Ⅱ. 포스트 미디어(The Post-Media) 혹은 포스트 미디엄(The Post-Medium)
Ⅲ. 포스트 미디엄 조건 (The post-medium condition): 로잘린드 크라우스
Ⅳ. 기술적 지지체 (Technical Support)
Ⅴ. 디지털 시대의 기술적 지지체 혹은 포맷(Format): 데이빗 조셀릿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5-600-002554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