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정지용의 시 104편을 연구대상으로 문체론적 각도로부터 통계분석과 의미분석의 연구방법을 응용하여 정지용 시작품의 어휘문체론적 특징을 고찰해보았다. 본고의 제2장, 1절에서는 정지용의 시속에 나타난 고유어의 문체론적 특징을 고찰해보았으며 2 절에서는 한자어를 9가지 류형으로 나누어 례를 들면서 그 표현적의미를 살펴보았고 3절에서는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혼종어를 분석해보았다. 총체적으로 정지용의 시 104편에서 나타난 전체 어절수는 5,675이고 그중 고유어는 4,814이고 그 빈도률은 84.83%이고 한자어는 696이고 그 빈도률은 12.26%이며 혼종어는 91이고 그 빈도률은 1.6%이다. 우리말 어휘체계에서 한자어가 고유어보다 더 많다. 그러나 정지용은 고유어를 가장 많이 사용한것으로부터 보아 그의 시는 전체적인 느낌에서 우리 민족의 고유한 정서를 잘 반영하고있으며 민속향토적 풍운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