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직업의 세계는 빠르게 변하고 있으나 자신의 적성을 고려하여 진로를 인식하고 준비하지 못한 상태로 사회로 배출되고 있는 현실적인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질적 향상, 그리고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13년까지 발표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 가운데 청소년과 학령기에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학위논문을 포함하여 관련 논문 71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의 회기, 시간, 내용, 운영에 있어서 보완할 점과 더불어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재구성 할 필요성이 드러났다. 또한 교육과정이 반영된 프로그램 척도의 필요성과 프로그램 진행자의 전문성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질적인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의 의미와 차기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research trend o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career exploration in Korea which is designed to suggest the reality situation - the entry into the society without course recognition and aptitude consideration in the rapid changing world. To achieve such objective, this study analyzed 71articles on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career exploration from 2004 to 2013 focused on the students between youth and school age children. The result is the complementary points for the session, time, contents and management of this program and needs to be developed and reconstructed the program differently. Also, It shows needs for a standard of the program reflecting times and ages and for a expertise of program performers. This research will be expected to be used as preliminary data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career exploration. Finally, It provides suggestions regarding meaning of research result and next developmen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the career expl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