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광수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미술문화연구 제1호
발행연도
2012.12
수록면
239 - 266 (28page)
DOI
10.18707/jacs.2012.12.1.239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동양 미학에서는 `意`를 가장 이상적인 심미주체로 여기고 있으며, `意`에 대한 사유는 `寫意性`이라는 동양특유의 회화 양식을 창출해내었다. 사의성은 意에 대한 이상적 성향을 표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에 대한 미학적 접근을 위해 `의경`의 개념이 대두되게 되었다. 가령 `사의적` 이라는 의미가 예술의 경향을 포함하고 있다고 본다면, 사의는 `의경에 의한 형식미의 완성`이라고 그 성격을 규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意에 대한 철학적 혹은 미학적 접근 방법으로 `의경 `을 주목하게 되었고, 의경은 사의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해줄 것이라고 판단된다.
意에 관한 철학적 사유는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기에 현학(玄學)을 기반으로 이미 싹트기 시작하였는데, 이시기에 산수화가 태동하였다. 그 대표적인 작가로 종병(宗炳, 375-443)과 왕미(王微, 415-443)가 있는데, 그들의 산수화론 속에서 의경에 관한 개념을 추론할 수 있다. 당시에는 `意境`이란 용어를 직접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도(道), 형신(形神) 등의 개념 속에서 이미 의경적 요소가 나타나 있다고 보인다. 따라서 의경미학은 산수화의 시작과 더불어 태동되기 시작하여 당(唐)에 와서 왕창령(王昌齡, 698-약757), 中唐 때의 시승인 교연(皎然), 유유석(劉禹錫, 772-842), 사공도(司空圖, 837-908)등에 의해서 그 개념이 완성되고, 송대(宋代)에 와서는 문인의 심미적 특성과 선종(禪)宗의 유입으로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의경미학의 생성과 발전
Ⅲ. 의경의 특징
Ⅳ. 의경과 산수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605-001127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