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명주 (명지대학교) 김정운 (명지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1卷 第4號
발행연도
2015.4
수록면
45 - 52 (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In Korea, a variety of related systems have been refurbished with an aim to make Zero Energy Building mandatory from 2025 in conformity with international trend in construction sector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uture course of improvement in current domestic systems by analyzing the input items of PHPP 8.5 in Germany, BEOpt 2.3 in the United States, and Eco2 2013 of Korea among the simulation programs being implemented for zero energy building plan and by analyzing the systems related to domestic and overseas zero energy buildings. As a result, we derived improvement measures associated with input method for Eco2, current domestic building energy performance evaluation program, basic input information, construction information, facility information, etc. In addition, we proposed that primary focus should be placed on zero energy buildings in connection with conceptualization of domestic zero energy buildings when the current building energy efficiency grade certification system is refurbished. The institutions and policies for zero energy buildings are being formulated newly to cope with global climate changes and related challenges, and should be designed expeditiously to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목차

Abstract
1. 서론
2. 제로에너지 건축물 개념 및 동향
3. 제로에너지 건축물 계획을 위한 국내외 건축물 에너지성능 관련제도 비교
4. 국내 건축물 에너지 관련제도의 개선방향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1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540-00147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