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강영환 (울산대학교)
저널정보
대한건축학회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계획계 大韓建築學會論文集 計劃系 第31卷 第4號
발행연도
2015.4
수록면
115 - 126 (12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ince 1970’s plenty of researches have developed wide and deep understandings on the traditional dwellings of korea. Concerning to the traditional dwelling in north korea, however, very few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it after korean war. The understanding on the dwelling types of this region have been depended mainly on the limited examples draw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had seldom covered with upper class. Recently a research discovered new examples of old dwelling drawn by immigrants, which could provide new possibility on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dwelling. It provided with even more important informations including the social class, management of farming etc. Based on these examples, this paper discusses the differences of dwelling design among social class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of high class dwellings mainly inhabited by rich peasant in Pyongan province. Through the analysis of 16 examples of rich peasant dwellings, three types of building layout have been discovered. It shows that the formation of each types should be related deeply to the farm size, management type, social status, and regional dwelling type.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일제시기 평안도 농민의 경제계층과 주거
3. 일제시기 평안도 부농주거의 사례
4. 평안도 부농주거의 유형별 성격
5.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540-001471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