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머리말
2. 부산지역의 부정선거 실태와 고등학생의 현실인식
3. 부산지역 4월혁명과 고등학생의 실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4월혁명기 대구지역 대학 학생운동의 양상과 성격
대구사학
2020 .01
1990년대 학생운동의 ‘위기’와 혁신의 모색 -연세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학림
2021 .09
1980년대 교지의 문예담론과 실천 연구
우리어문연구
2021 .09
잘 읽는 학생, 안 읽는 학생, 못 읽는 학생
함께 여는 국어교육
2022 .09
5·18 부정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 역사부정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 -
역사와 세계
2020 .12
4월 혁명과 여성 참여 - 2·28대구학생시위로부터 4·11민주항쟁까지를 중심으로 -
여성과역사
2020 .12
1970년대 전반 연세대학교 학생운동의 전개와 성격
학림
2021 .09
학생운동으로서의 6?4천안문사건
역사학연구
2018 .02
1930년 서울지역학생 연합시위와 근화여학교
인문과학연구
2019 .01
1950-60년대 순천의 지역정치와 6·8부정선거 규탄운동
남도문화연구
2020 .01
경성의학전문학교 학생들의 3.1운동 참여 양상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9 .01
1940년 부산 항일학생의거의 인식에 대한 고찰
인문학논총
2016 .02
자기개념을 활용한 학생 수업 참여에 대한 고찰 : 러시아 교과를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18 .09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광주학생운동 부분에 대한 검토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2 .09
한국공해문제연구소 부산지부의 조직과 활동 - 1980년대 초 부산지역 민주화운동 세력의 재결집과 관련하여 -
역사와 세계
2024 .12
3·1운동 이후 부산지역 항일독립운동의 성격
항도부산
2019 .01
학생 참여형 역사수업에서 평가 방안
역사와교육
2020 .01
1970년대 후반 부산지역 학생운동과 부마항쟁 : 부산대 시위를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2018 .05
1980년대 사회민주화와 대학민주화: ‘6월항쟁’과 ‘1·8항쟁’을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2023 .02
학교에서 거리로, 도시에서 농촌으로:1960~70년대 이념서클의 학생운동 -연세대 한국문제연구회를 중심으로-
학림
2021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