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가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최동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제9권 제3호
발행연도
2015.6
수록면
222 - 228 (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application for sustainable green technologies, and the trends in the application of LEED credits. The data in this paper was selected for analysis of the case studies of multi-unit residence(146), commercial office(717), and school(277), which are certified as LEED NC 2.2 poi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from 2000 to 2012.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is study are 1) LEED sections with higher total credit points amongst each other, which shows a large difference between categories(Platinum, Gold, Silver, Certified), and LEED sections with lower total credit points were relatively even. 2) Even though, the Energy & Atmosphere section is the highest credit rating(17 point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ection was the lowest overall percentage in the sustainable green technology application. As a result, to receive a higher level, the potential LEED project should be carried out in a systematic review from the planning stage.

목차

Abstract
1. 서론
2. G-SEED와 LEED의 개요
3. 평가부문별, 세부평가항목별 친환경기술적용 현황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546-001650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