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이인환 (충북대학교) 신정민 (이화여자대학교) 조해용 (충북대학교)
저널정보
한국기계가공학회 한국기계가공학회지 한국기계가공학회지 제14권 제3호
발행연도
2015.6
수록면
21 - 26 (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Many 3D printing technologies are being used in various industries, and their demands for well-educated engineers are increasing. Moreover, novel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to overcome the limits of existing 3D printing technologies. In this regard, adequate education and a related curriculum especially in the Mechanical Engineering field, which is the basis of the industry, is essential. In this paper, the development of the 3D printing curriculum and its assessment in Mechanical Engineering education are proposed. The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lectures and practice. It consisted of major 3D printing technologies, such as SLA, FDM, SLS, LOM, and Polyjet. Moreover, post-processing, room temperature vulcanizing (RTV), and coloring were also taugh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education program was assessed by the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reas of improvement were deduced from the survey results.

목차

ABSTRACT
1. 서론
2. 3차원 프린팅 교육과정 구성
3. 3차원 프린팅을 이용한 제작
4. 설문을 통한 학습효과의 분석
5.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1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581-002077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