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사드는 물리적 경계의 역할을 수행하고, 건축물의 이미지와 시각적 정보를 전달한다. 또한 내부와 외부의 공간을 연결함에 있어서 선호도는 이용자들의 유입이 결정되는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가로경관의 중요한 이미지 구성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파사드 디자인은 가로 전체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부분에 있어서 배경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업가로는 건축물과 인접한 보도에서 상업 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난다. 상업가로 이용자들은 건축물의 첫 인상과도 같은 파사드로부터 1차적인 시각적 자극을 받아 시지각과 인지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의 대표 상업가로인 신사동 ‘가로수길’을 대상지로 하여, 가로변 건축물 파사드의 선호요인을 분석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파사드의 유형을 조사하고 분류하여 물리적 구성요소가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상관관계성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상업가로경관의 선호요인을 도출하여, 향후 상업가로의 활성화 및 개발계획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파사드의 구성과 디자인이 일관적이고 이용자들의 시야에 쉽게 들어올 수 있는 건축물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은 건물 전체가 단일 업종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문헌 조사와답사를 통한 예비조사 과정에서 10개의 건축물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건축물 입면 파사드의 물리적 현황에 따른 시각적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형태적 인지가 가능한 벽면, 외형, 개구부, 간판을 세부 유형으로 분류한 다음, 이를 토대로 현황 조사 및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건축물 파사드의 물리적 구성 요소와 심리적 요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심미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선호도를 낮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요소는 출입구, 질감, 입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업가로의 건축물 파사드 구성 시각 물리적 요소 별 선호도가 가장 낮은 돌출형 출입구, 페인트의 느낌이 강한 화이트 계열의 질감, 불규칙한 입면의 형태는 지양해야 한다. 기존에는 효율성이나 용도의 극대화 등 경제적인 관점을 중심으로 상업 건축물을 계획하였지만, 현대에는 이용자의 체험이나 감성을 고려하는 공간이나 파사드에 대한 요구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용자의 선호도가 고려된 건축계획으로 파사드와 주변의 조화, 시각적 안정감, 편리성, 통일성, 정체성 등을 형성하는 상업가로 조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나아가 파사드에 대한 선호도와 실제 구매와의 관련성까지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지면 상업가로 활성화에 더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facade takes a role of visual communicationas well as physical boundaries through the connectivity within and outside space. Also it is considered image elements to determine the preference of building image and influx of users. The facade design achieves to create a feeling in the static and dynamic image also as a background. Especially in the commercial area. The street performs for place such as commercial activity and the first visual impression to the user. In this study, Identify the impact on visual preference relationship about types of physical components boulevard building facade. The study destination is Garosu Street in Shinsa Village, this areais representative of the commercial landscape of Seoulcity. The plan which is derived from preference the commercial street would propose basic reference required for the activation of the commercial landscape and future development plan. I select the objects that limited single sector in the entire building for easy understanding to the user as well as considered consistency of building facade. 10buildings were selected to be analyzed by preliminary investig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To see visual preferences based on the physical statues of the building elevation facade, classified as a possible form of cognitive wall, appearance, gateway, details the types of signs, then it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research and survey. I analyzed the correlation of the physical constituent of the building facade and psychological factor. I drew the conclusion that the factor hindering the esthetics lowers a preference as a result. The physical element having an effect on a preference is the gateway, texture, and the building elevation facade. Accordingly, I have to sublate that a preference is lowamong the element comprising the building facade of the commercial street. It is the protrusion type gateway, the paint texture of the white and irregular form of the facade that a preference is the lowest. Previously, when commercial building was planned, the primary virtue wa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economic point or purpose of commercial buildings, but in the modern society, there is growing requirements of human space and facade to consider the experiences and emotions of the user.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o be an opportunity to promote the user’s visual comfort and convenience by the visual formation of the facade and the surrounding harmony, unity and identity. In the future, If the study that I consider will be accomplished in the purchase, I will contribute to a vitalization of the commercial str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