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I. 머리말
II. ‘민족서사’의 형성과 근대역사학의 발명
III. 대학 속의 근대역사학 - 저항에서 제도로
IV. 민족서사의 미래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세기 미국 서부지역 아시안 이주와 反아시안 정서의 형성
사림
2019 .01
근대 한국종교에서의 ‘민족’(民族)과 ‘민중’(民衆) : Nation, Nation State, 그리고 Nationalism과 관련해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12
민족의 실체설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인문사회과학연구
2016 .01
<5일의 마중>과 <국제시장>의 기억 방식으로서의 가족서사-개인·가족·국가의 관계 맺기
중국문학
2018 .01
러시아-유라시아 지역의 언어적 특성: 중앙아시아의 ‘민족개념-민족어-러시아어’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6 .01
한반도의 역사적 경험에 따른 한민족의 정체성 규명을 위한 시론
헤겔연구
2016 .06
주체 사관에서 인민과 민족의 자리
역사비평
2022 .08
민족/국민국가, 제국, 역사학 — 왕후이(汪暉)의 『아시아는 세계다』를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3 .09
长安的历史叙事与文学想象
중어중문학
2016 .12
이스라엘의 선택과 열방과의 관계 스펙트럼
구약논단
2021 .09
설화에 나타난 과것길의 서사적 기능과 의미
한국언어문학
2016 .01
해방 전후 김두헌의 ‘민족관’과 전체주의 국가론
역사문화연구
2015 .01
민족의 국사 교과서, 그 안에 담긴 허상 : 4·5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역사비평
2016 .11
1930~40년대 수학여행의 사회 문화적 맥락과 서사화의 의미
로컬리티 인문학
2017 .10
민족을 상상하는 해방기의 문학 : 일(日)ㆍ미(美) 표상을 중심으로
어문학
2016 .06
해방기 소설과 수난의 서사 : 안회남의 「불」과 최정희의 「풍류 잽히는 마을」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5 .04
“似而不同”:跨越百年的“还乡”叙事
건지인문학
2024 .02
Building a New Nation : Chooyang, Han Gyeongjik and His Ideological Influence in Making Modern Korea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16 .12
『위대한 개츠비』와 『병신과 머저리』에 나타난 화자의 내적 성장과정 연구
동서비교문학저널
2016 .03
실증사학의 ‘이념’ — 식민지 조선에 온 역사주의
인문논총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