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중앙법학회 중앙법학 중앙법학 제15집 제2호
발행연도
2013.6
수록면
169 - 196 (2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nature of speculative or gamble of Web board game is a controversial issue in online game industry. Web board game is chance game or gambling style game such as Gostop or Poker game operated in online. But this game is criticized because it encourages a spirit of gambling and speculation. Therefore there are some policies of regulation on this game that are administrative guideline of government and game industry promotion act and game rating system. Although this policies have an intention of preventing speculative games, web board game is not regarded as gamble or speculative game. Because web board game providers never change game money into real money, exchange exists outside of game system. The key point of speculation is prize(output) from the game. Recently government expressed pre-announcement of legislation that aims to prevent encouraging a spirit of speculation in web board game industries. This regulation asks for web board providers to follow the provisions of enforcement ordinance of game industry promotion act. But it is very difficult for them to obey the provisions, because economical impact is too strong and they could not accept the perception that web board game is regarded as game. I think, it would be reasonable to resolve the problem of web board game in game rating system and government must endeavor to provide self-regulation guidelines in cooperation with web board game industry.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15)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4)

  • 대법원 2008. 12. 11. 선고 2006도7642 판결

    게임물의 등급분류 및 경품의 종류와 경품 제공 방법 등에 관한 구 음반·비디오물 및 게임물에 관한 법률(2006. 4. 28. 법률 제7943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 조항들의 내용과 취지를 종합하여 보면, 문화관광부장관은 게임제공업자가 제공할 수 있는 경품의 종류와 경품 제공 방법에 관한 고시를 제정함에 있어 영상물등급위원회로부터 등급분류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0. 2. 25. 선고 2009도12117 판결

    자세히 보기
  • 서울북부지방법원 2012. 12. 28. 선고 2012고정1809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6. 5. 11. 선고 2006도920 판결

    [1] 헌법 제12조 및 제13조를 통하여 보장되고 있는 죄형법정주의의 원칙은 범죄와 형벌이 법률로 정하여져야 함을 의미하며, 이러한 죄형법정주의에서 파생되는 명확성의 원칙은 법률이 처벌하고자 하는 행위가 무엇이며 그에 대한 형벌이 어떠한 것인지를 누구나 예견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자신의 행위를 결정

    자세히 보기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360-002567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