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
Abstract
1. 서론
2. 공유자원 이용과 관리 그리고 공동체
3. 이론적 검토
4. 제주해녀 공유어장관리의 원리
4. ‘공유재의 비극’을 넘어서기
5. 결론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제주해녀와 함께 『공유의 비극을 넘어』 : 공유자원관리체제를 통한 자원부족시대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연구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15 .11
제주해녀의 지속가능한 노동력 재생산은 가능한가? - 해녀학교의 역할을 중심으로 -
대한지리학회지
2024 .12
제주 해녀에 관한 사회적 담론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23 .05
제주해녀문화 관광자원화의 진정성과 지속가능성 - ‘해녀의 부엌’을 사례로 -
문화역사지리
2024 .08
그림책에 묘사된 제주 해녀 이미지 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2022 .08
‘해녀’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23 .02
지역에서의 공동자원론: 대만 원주민 공동자원과 제주도 마을 공동자원의 관리 사례 비교 연구
대만연구
2023 .06
엘리너 오스트롬의 자원관리론을 넘어서 : 커먼즈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접근을 위하여
환경사회학연구 ECO
2016 .06
멕시코 농촌지역의 사회적 변화와 공유자원의 이용
이베로아메리카
2015 .12
해녀 활동의 지적학적 함의 연구 - 국내 최고령 해녀 김화순을 중심으로 -
한국지적학회지
2024 .08
TV 휴먼다큐멘터리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제주 해녀 - KBS 〈인간극장〉을 중심으로 -
사회이론
2021 .05
오스트롬의 커먼즈 이론 관점*에서 들여다본 도시커먼즈의 재해석: 커먼즈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2024 .03
공동자원의 새로운 정의와 제주의 공동자원 : 바다밭을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2019 .06
도시 커먼즈(Urban Commons) 실현의 한계 및 가능성
공공사회연구
2021 .02
대안은 사회적 공유와 관리다
한국디지털학술출판연구
2016 .06
일본 시마반도 해녀사진을 통한 해녀이미지 분석
동북아관광연구
2016 .01
일제 강점기 신문기사로 본 제주 해녀 연구
제주도연구
2019 .01
UNESCO Woman Diver, Ms. Hee Choon Becomes Human Spirit beyond the Jeju Tragedy : Hee Choon Oh’s Testimony at the UNESCO, Peace Island Network in Paris and Paris Arirang
World Environment and Island Studies
2021 .12
제주해녀의 노동력 재생산 연구 방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4 .09
0